설계 POINT
- 치환공조가 필요한 대공간 교육장으로 객석 치환디퓨져 VAV + 복도 치환디퓨져 CAV 배치 설치
- 수평형 공조기로 냉난방 구현
- 차압제어(12.5Pa) 및 BMS는 바닥공조 자료 통신으로 메인 자동제어에 연동하고 메인 자동제어에 제어/모니터링 구현함
건축 COMMENT
29년만의 재개관, 고품질의 국악관현악감상 가능한 새로운 장 마련국립국악원은 우면당을 고품질의 국악을 감상할 수 있는 중규모의 국악 전용자연 음향 공연장으로 탈바꿈하기 위해 2015년 1월 5일 내부 리모델링 공사에 착수, 9개월간의 기간을 거쳐 지난 해 9월 공사를 완료했다. 이후 공연장 음향 측정 및 포럼, 국립국악원 소속 예술단체의 무대연습, 사전 공연 등의 시범 운영기간을 거쳐 오는 2월 15일, 정식 재개관을 하였으며, 이는1988년 2월 15일 우면당 개관 이후 29년만의 재개관이다. 울림의 깊이는 더하고, 섬세한연주의 떨림도 놓치지 않은 ‘우면당’자연 음향 국악 공연장으로는 최대 규모,객석 어느 위치든 최상의 소리 전해국립국악원은 국악관현악 연주가 가능한 규모의 자연음향 공연장으로 구현하기위해 우면당 음향 환경의 음량을 키우고 울림을 더했다. 무대에서 발생하는 음량의 분산을 막기 위해 육면체의무대 중 객석을 향한 전면을 제외한 모든 면을 밀페형으로 설계했고, 국악기의 울림을 키우기 위해 무대아래 10개의 공명통을 설치했다. 또한 객석 어디서든 고른음량을 들을 수 있도록 무대 천장에 12개의 음향 반사판을 매달았고,객석 주위로도 기와 형태의 음향 반사판 12개를 설치해 무대에서 생성되는 풍부한 음량이객석으로 골고루 반사되도록 고안했다. 자연 음향으로 다양한 장르의 국악 레퍼토리 선보일 수 있는 공간 구성기악독주, 실내악, 국악관현악 및 판소리, 민요, 무용등 다양한 장르의 국악 레퍼토리를 자연음향으로 전하기 위해 무대 후면에 전후로 이동 가능한 음향 반사판을 설치,무대에서 발산되는 음량의 손실을 최소화 시켜 객석으로 보낸다. 공간 자체에 발생하는 소음도최소화 시켰다. 기존 텅스텐 조명의 필라멘트가 가열될 경우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 기존 조명을 LED조명으로 교체했고, 무대 아래 장치 반입구에도 이중 방음문을설치해 극장 밖 소음 또한 차단했다. 최적의 공연 관람을 위한 객석 환경도 개선했다. 어느 좌석에서도 무대가 잘 보이도록 객석의 각도를 기존 22도에서 17도로 낮춰 고른 시야각을 확보했고, 전후 객석 간 간격을 950mm에서 1,000mm로 확장해 여유 있는 공간을 마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