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We always
Design Better Air

TRUMAN은 혁신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오직 ‘건강한 공기’만을 고집합니다

최초의 변풍량 가압식
바닥공조 전문기업

TRUMAN은 고객만족과 신뢰를 최우선 가치로, 지속가능한 솔루션을 제안합니다

숨쉬는 공간,
머무르고 싶은 공간

쾌적하고 안전한 공간, TRUMAN과 함께라면 가능합니다.

INNOVATIVE

천장이 아닌 바닥으로 공조방식의 트렌드는 변화하고 있습니다.

트루만㈜은 전 세계 최초로, 그리고 가장 많은 프로젝트를 수행한 AirFixture L.C.C.사의 제품으로 설계합니다.

ENGINEERING

트루만㈜은 UFAD와 관련되어 모두가 선호하는 전문가 그룹입니다.

저희의 전문적인 의견은 프로젝트 설계와 성공적인 실행에 도움이 됩니다.

WELL-AIR

1000/cm3 ~ 1200/cm3 개의 이온으로 깊은 산속에 있는 것과 같은 쾌적함을 선사합니다.

트루만㈜은 공기질 분야의 선두주자 Plasma Air의 한국 파트너사입니다.

BUSINESS

UFAD

변풍량 가압식 바닥공조

ASHRAE UFAD GUIDE 2013에 의하면, UFAD란 Access Floor 바닥에 설치된 바닥 디퓨져를 통해 실내 거주역 공간으로 공조된 공기를 이송하기 위해, Slab와 Access Floor 사이의 개방된 가압공간(Air Plenum)을 사용하여 거주역 공기의 온도성층화 특성을 이용 하여 공조하는 방식입니다.

BUSINESS

PLASMA AIR IONIZATION

(+)(-)ion은 자연 그대로의 공기청정기입니다.

Plasma Air Ionization(Bi-Polar Ionization)은 공기정화 능력이 있는 (+)(-) 산소이온을 동일한 양으로 생성하여 깊은 산속 자연의 과정을 복제하는 기술로, 산소분자에 에너지를 가해 (+)(-)ion을 생성시켜 공기중에 존재하는 각종 오염원(악취, 미립자, 바이러스, 박테리아, VOCs 등)을 제거하는 시스템입니다.

NEWS

10
2024

트루만(주), 건축산업대전서 차별화된 바닥공조 기술 선보여

냉동공조저널 24.10.18기사내용 전문 링크 : http://www.hvacrj.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866- 환기효율 20~50% 개선, 층고 확보로 최적의 실내 근무환경 구현- 변풍량 가압식 바닥공조 도입한 다양한 신축 및 리모델링 사례 소개 바닥공조 전문기업 트루만 주식회사(대표 정성진)는 10월 16일부터 18일까지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 B홀에서 열린 '한국건축산업대전 2024'에 참가해, 환기 효율을 최소 20~50% 개선하고 더 높은 층고 확보를 통해 실내 근무 환경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바닥공조 시스템(UFAD, Under Floor Air Distribution)의 차별화 기술을 선보였다.트루만은 2010년 설립된 냉동공조 장비 공급 및 에너지 절감 관련 엔지니어링 솔루션 전문 업체로, 국내 최초로 바닥공조 시스템에 무선 제어 방식과 플라즈마 에어 이온화 방식을 적용한 친환경 변풍량 가압식 바닥공조 솔루션을 개발한 회사다.정성진 대표는 이번 행사 참가에 대해 “기존 공조 시스템 대비 바닥공조 시스템의 적용 효과뿐만 아니라, 건축과의 조화를 이루는 디자인, 컬러, 층고 등 실내 레이아웃과의 조화를 건축사들에게 적극 어필하고 소통하기 위함”이라고 밝혔다. 트루만은 전시 부스 중앙에 설치된 건물 실내 모형을 통해 천장 공조와 바닥 공조 시스템의 공기 흐름을 시연했다. 이를 통해 공조 급기와 실내 공기의 혼합 및 배기 과정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며, 자연적인 상승 기류를 활용해 최적의 거주 구역 층화 공조를 구현할 수 있는 변풍량 가압식 바닥 공조 시스템의 우수성을 강조했다. 또한, 바닥 공조 시스템을 구성하는 칠드빔 디퓨저(외주부), 무선 전원 및 제어 디퓨저, CAV·VAV 디퓨저 등 다양한 바닥 취출구와 여러 형태 및 사이즈의 그릴, 그리고 신축 및 리모델링 적용 시의 이점을 실제 적용사례를 통해 선보였다.바닥공조(ASHRAE UFAD GUIDE 2013) 시스템은 실내공기를 혼합(Mixing)하는 천장공조와 달리 악세스 플로어 바닥에 설치된 바닥취출구(디퓨저)를 통해 실내 거주역 공간으로 공조된 공기를 이송한다. 이 과정에서 슬라브와 악세스 플로어 사이의 개방된 가압공간(Air Plenum)과 온도성층화 특성을 이용해 실내 공기를 조절하는 방식이다.바닥공조 시스템의 실내 기류흐름은 온도가 올라간 공기는 자연적으로 상승하고 상승되는 공기는 주위열 및 오염물질을 끌고 올라가게 된다. 상승된 공기는 절대 하강하지 않는다정성진 대표는 “UFAD는 실내에서 발생되는 자연적 상승기류 특성을 활용해 최적의 거주역 (1.8m-2.0m) 성층화 공조를 구현한다”며 “이 시스템은 건물 외관 비용 절감, 층고 감소, 초기 투자 비용 절감, 에너지 사용량 및 유지비 절감, 그리고 최소 20~50% 환기효율(실내공기질)개선을 통해 거주자의 편의와 건강, 생산성 향상, 그리고 비용 효율적인 LEED 및 친환경 인증 취득에도 큰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 생략 ))   특히 삼성 서초사옥 C블럭, 한국전력 신사옥, 한국은행 본관 리모델링 및 통합별관, 판교 KT사옥, 현대 그린 스마트 실증인증센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립국악원 우면당 리모델링, 울산시립도서관, 여의도 교직원공제회관, 새문안교회 대예배당, 여의도 파크원, 성남 아트센터 공연장, 한국도로공사 X-Smart Center, 일산 KT사옥 통합미디어센타 등 다양한 건축물에 서 수행한 가압식 바닥공조 시스템 프로젝트도 함께 소개됐다. 

08
2023

[인터뷰] 정성진 트루만 대표

Kharn 칸 2023.08.13기사내용 전문 링크 : [인터뷰] 정성진 트루만 대표 (kharn.kr)"최적 IAQ 제공 플라즈마 바닥공조, 친환경 바닥공조 솔루션 제공 목표"환기효율 20% 절감, 에너지 30%~50% 절감 효과 확인미국 ‘AirFixture’ 독점공급, 업무제휴무선 디퓨저 적용 무선제어 바닥공조시스템 제공2010년 5월 기계설비분야 중 냉동공조장비 공급 및 에너지절감 관련 엔지니어링 솔루션 전문기업으로 설립된 트루만의 주력사업 아이템은 ‘가압식 바닥공조시스템’이다. 2018년 미국 Plasma Air International사와 독점 공급계약을 체결하면서 에너지절감과 실내공기질(IAQ) 향상을 위한 솔루션 연구개발 및 보급에 주력하고 있다. 최근에는 글로벌 시장점유율 1위 가압식 바닥공조시스템 개발 및 제조사인 미국 AirFixture사와 기술제휴를 통해 국내 환경에 맞는 솔루션 연구개발 및 국내시장 확대를 위한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향후 무선 디퓨저를 적용한 무선제어(Wireless Control) 바닥공조시스템과 최적의 실내 공기질(IAQ)을 제공하는 플라즈마 바닥공조시스템으로 미래지향적인 친환경 바닥공조 솔루션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는 정성진 트루만 대표를 만나봤다. ■ 기업 운영 철학이 있다면 수주를 목적으로 고객을 기만하는 영업은 배제하고 수주를 할 수 없더라도 실제 제공가능한 솔루션과 엔지니어링을 통해 고객이 지속적으로 만족할 수 있으며 고객에게 제공한 솔루션에 대한 무한 책임지는 정직한 엔지니어링기업이 되는 것이다. 기업은 이익 창출에 목적을 두고 운영한다. 그러나 트루만은 이익창출 이전에 정직한 엔지니어링과 솔루션 제공을 통해 고객이 지속적으로 만족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 바닥공조는 어떤 시스템인가 가압식 변풍량 바닥공조시스템은 급기 플레넘과 실내와의 차압제어를 통해 매우 낮은 바닥취출 속도로 실내에 급기해 거주역까지 온도 성층화를 만드는 치환공조방식으로 최적의 거주역 공조효과를 제공하는 공조시스템이다.이외에 기존 천정공조에 비해 층고와 천정고 공간활용이 매우 우수해 층고 절감효과를 얻을수 있으며 바닥에서 거주역까지만 공조함으로써 공조효율 개선 및 기존 천정공조대비 에너지절감효과(30~50% Up)가 매우 높다. 또한 사무실 레이아웃 변경에 매우 유연한 대응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 국내 바닥공조시장 동향을 평가한다면코로나19 펜데믹 이후 실내에서 지내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IAQ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실내 기류흐름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는 상황에서 ASHRAE의 권고사항으로 실내공조 및 환시시스템 설계 시 실내 기류흐름의 정체 및 혼합이 이뤄지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또한 에너지 관련 공공요금 인상으로 에너지효율이 높은 제품이나 시스템에 대한 관심과 건축자재가격 폭등으로 인한 공사비 부담, 리모델링시장 확대에 따른 수요로 앞으로 국내 바닥공조시장은 더욱 커질 것으로 조심스럽게 예측한다.■ 타공조시스템대비 차별성은 기존 천정공조시스템이나 일부 바닥공조시스템(등압식)처럼 실내공기가 혼합(Mixing)되는 것이 아니라 실내 취출공기가 한방향으로 유도함으로써 오염공기와 섞이는 것을 방지해 환기효율도 20% 이상 높여줘 IAQ 개선 및 타시스템대비 40% 이상 높은 에너지절감효과를 제공한다. 사후관리 및 유지관리 비용도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기존 천정공조대비 200mm 이상 천정고를 높게 확보하거나 층고를 낮게 해 건축비 감소 또는 층수 확보가 가능하다. 리모델링이나 기업 내 조직의 변경 및 실내 용도 변경에 따라 사무실 레이아웃 변경에도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다. 용적율 인센티브나 녹색건축물 인증, LEED 인증에서도 가점을 받을수 있는 다양한 장점이 있다.■ 타사대비 경쟁력은트루만에서 제공하는 솔루션은 글로벌이슈가 되고 있는 기후&환경(ESG), 에너지, 실내 공기질 문제 등에 전적으로 대응이 가능한 미래지향적인 솔루션이다. 특히 주력제품인 바닥공조와 플라즈마 에어 이오나이져 솔루션은 동종업계에서는 제공할 수 없는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객의 니즈(Needs)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이다.바닥공조 제품의 경우 완벽한 거주역 변풍량(VAV) 및 취출속도제어로 최적의 거주역 공조효과를 제공하며 거주자 실내 쾌적도 만족을 통해 근무 생산성을 향상시킨다.또한 신뢰성 높은 다양한 Model Line-up을 구축해 건축 평면의 다양성에 대한 설계 대응력이 높으며 사무실 재배치에 따른 리뉴얼공사가 쉽도록 모든 배관(제어&전원) 연결이 UL인증의 규격화된 PAP Cabling 방식으로 진행된다.최근 선보인 무선제어(Wireless Control) 바닥 디퓨저는 특허 신기술이 적용돼 리뉴얼 대응이 빠르고 저 전력소비의 VAV댐퍼 설계로 배터리수명은 10년 동안 가능하다. 소음 최소화를 위해 무소음 구동모터도 적용했다. 온도변화(TEC)에 따라 Fully motorized 자동운전은 물론 최대 32개 바닥디퓨저까지 푸시 버튼 방식의 페어링모드를 사용해 동기화할 수 있다.바닥공조시스템 구성요소는 동일하지만 기존 유선제어와 전원용 PAP Cable을 모두 없앰으로써 제어의 편리성은 극대화시키면서 현장 공사분은 최소화시켰다. 전원공급도 배터리 내장의 Drop-in type 바닥디퓨져로 개선함으로써 시공편리성 및 현장 안전관리를 강화토록 했다.트루만은 세계 최초 신기술 무선제어(Wireless Control)와 플라즈마 이오나이져(Plamsa Air Ionizer)를 적용한 바닥 디퓨저를 비롯해 스피커 내장이 가능한 바닥디퓨져, 이동이 가능한 키오스크형 DDC 온도제어기, 완벽한 외주부 부하대응성 & 에너지절감 능력을 갖춘 칠드빔 타입 선형 바닥디퓨져(IFCB) 등 미래지향적인 다양한 바닥공조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갈수록 다양해지는 건축환경 조건에 제약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중략))■ 그동안 성과는 그동안 노력으로 한국전력 나주사옥, 현대그린스마트 실증인증센터, 한전ICT센터, 한미연합사(YRP),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립국악원 우면당 리모델링, 울산시립도서관, 여의도 교직원공제회관, 도농행정복지센터, 새문안교회, 여의도 파크원, 성남시 문화 및 의료시설, 판교 EX 스마트센터, 일산 KT 통합미디어 센터, 한국은행 본관 리모델링&통합별관과 최근 무선 디퓨져가 함께 공급된 판교KT 사옥 등 굵직한 공사들로 내실을 다져 왔다. 공기정화 솔루션인 플라즈마 에어 이오나이져는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제2신관, KT 우면사옥, 글로벌 기업인 Bloomberg Korea, 현대 로보틱스의 방역 로봇 등 다양한 곳에 적용됐다. 향후 경기주택도시공사 융복합센터와 백암빌딩 개발사업 등에도 설치 예정이며 다양한 프로젝트에 설계반영 중으로 가치와 실용성을 인정받는 추세에 있어 지금까지 보다 앞으로가 더욱 기대될 전망이다. 

06
2023

[2023 기계설비전시회] 트루만, 세계 최초로 무선 가압식 바닥공조 솔루션과 플라즈마 이오나이져 가압식 바닥공조 솔루션 소개

월간설비기술 23.06.01기사내용 전문 링크  [2023 기계설비전시회] <br> 트루만, 세계 최초로 무선 가압식 바닥공조 솔루션과 플라즈마 이오나이져 가압식 바닥공조 솔루션 소개 > 뉴스 | 월간 설비기술 (sulbee.co.kr) 가압식바닥공조 전문기업 트루만는 이번 ‘2023 대한민국 기계설비 전시회(HVAC KOREA)’에 참가하여 세계 최초로 무선 가압식 바닥공조 솔루션과  플라즈마 이오나이져 가압식 바닥공조 솔루션을 전시하여 소개하였다.  가압식 바닥공조 솔루션은 기존 천정 공조방식에 비해 높은 층고와 천정고 확보가 가능하여 공간 활용성 및 공사비 절감에 도움이 되며 리모델링 공사에서도 천정공조 대비 200mm이상의 높은 천정고 확보에 도움이 된다. 또한 자연 상승기류 특성을 이용하여 환기 효율과 공기질 향상에 도움을 주고 에너지 사용이 감소된다.  이번에 새롭게 선보인 세계 최초 무선 가압식 바닥공조 솔루션은 기존의 유선방식에서 무선으로 전환하면서 시공의 편리성과 설치 후 공간 재배치의 장점을 가지고 내장 배터리의 수명이 5년으로 유지관리에도 편의성을 제공한다. 플라즈마 이오나이져 솔루션은 공기정화 및 각종 악취, 미립자,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을 제거하는 시스템으로 공기정화 능력이 있는 (+)/(-) Oxygen Ion을 동일한 양으로 생성하는 것으로, 깊은 산속 자연의 과정을 복제하는 기술로 산소분자에 에너지를 가해 (+)/(-)Ion을 생성시켜 공기 중에 존재하는 오염원을 제거하여 초미세먼지를 포함한 공기중의 입자를 뭉쳐 필터링하는 과정에서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세포 구조를 파괴하며, 악취가스 및 냄새와 접촉하여 산화되어 중화시키는 기능을 한다.트루만(주)는 이러한 두 솔루션을 접목시켜 업무시설, 연구소, 공연장과 상업, 의료, 학교 시설 등 생활의 전반적인  모든 공간에 적용하여 보다 편리하고 쾌적하며 안전한 실내 공기질을 합리적인 저비용과 효율적 에너지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06
2022

트루만(주), 무선 제어 및 플라즈마 에어 이온화 방식 적용한 친환경 바닥공조 솔루션 본격 공급

- 무선(wireless) 제어방식 적용… 현장공사 최소화, 제어 편리성 극대화- Plasma Air Ionization 제품 접목… 거주역 주위의 각종 오염원 접촉 통해 제거- 트루만, 2013년 나주 한전 신사옥 첫 수주 후 다양한 건축물에 변풍량 가압식 바닥공조 적용 냉동공조저널 22.06.02기사내용 전문 링크 : https://www.hvacrj.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138 트루만(주)이 국내 처음으로 바닥공조시스템에 무선(Wireless) 제어방식과 플라즈마 에어 이온화(Plasma Air Ionization) 방식을 적용한 친환경 변풍량 가압식 바닥공조 솔루션을 선보였다.기존의 바닥공조 제어방식은 유선방식으로 모든 변풍량 바닥취출구를 온도조절기와 PAP Cable로 연결해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시간이 많아짐으로 현장 작업자의 안전관리 등 관리 point가 많았다. 또한 리뉴얼 시 연결된 PAP Cable을 분리한 후 재연결해야 하는 작업시간도 소요됐다.트루만 정성진 대표는 “이러한 현장작업의 안전성 개선, 공사기간 단축, 좀더 원할한 리뉴얼(Renewal) 및 공사비 절감 등의 개선 필요성에 의해 2년여의 연구와 실증을 거쳐 세계 최초로 개발된 솔루션이 무선(Wireless) 제어 가압식 바닥공조시스템”이라고 말했다.  트루만은 무선(Wireless) 제어 바닥공조시스템과 함께 Plasma Air Ionization 바닥 공조시스템도 론칭했다.정성진 대표는 “코로나19 펜데믹으로 인한 바이러스의 위험성은, 특히 많은 시간을 실내에서 거주해야 하는 거주자에게는 실내공기질(IAQ)이 매우 중요한 요소”라며 “Plasma Air Ionization 바닥공조시스템은 실내에서 발생되고 존재하는 바이러스, 박테리아&곰팡이, VOCs 및 초미세먼지 등과 같은 실내오염원이 공조시 공기 이동에 의해 실내 모든 거주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오염원을 정화할 수 있는 솔루션의 필요성에 의해 개발하게 됐다”고 밝혔다. 트루만(주) 냉동공조장비 공급·에너지절감 관련 엔지니어링 & 솔루션 전문업체트루만(주)은 2010년 5월 기계설비 분야 중 냉동공조장비 공급 및 에너지절감 관련 엔지니어링 & 솔루션 전문업체로 설립됐다. 그 당시만 해도 유럽에서 적용되던 정풍량 형태의 등압식 바닥공조시스템이 극히 소수의 업체 사옥에 도입이 검토되던 시기였다. 하지만 등압식 바닥공조시스템은 천정설치 시스템에어컨과 공기 취출 위치만 다를 뿐 거의 유사한 방식으로 높은 취출기류에 의해 거주역에 난기류를 형성하고 실내 취출 기류 중 일부가 재순환하므로 실내의 각종 오염원(바이러스, 박테리아·곰팡이, VOCs 및 초미세먼지)을 원활히 제거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거주 위치에 따른 온도편차도 크게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단점을 안고 있었다.정성진 대표는 “이미 설치돼 있던 등압식 바닥취출 시스템은 공조시스템으로 제 역할을 못하고 있었다”라며 ”삼성(건설), 건국AMC(발주처)에서 20년 이상 대규모 프로젝트 설계, 발주, 시공 및 관리 감독하면서 축적한 경험과 해외 사례 등을 종합해 존슨콘트롤즈 측과 파트너쉽을 맺고 실내오염원 제거, 일정한 실내기류 흐름확보 및 균일한 온도분포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친환경 가압식 변풍량 바닥공조시스템’을 주력 아이템으로 냉동공조장비 공급 및 에너지절감 관련 엔니지어링 & 솔루션 전문업체를 설립하게 됐다“고 언급했다.(( 중략 ))트루만(주)의 경쟁력…건설현장서 축적한 설계·시공 엔지니어링 노하우 및 역량 기반기존의 미세먼지 처리 및 최근 코로나19 펜데믹 등으로 인해 북미 등 선진국의 실내 공간의 냉난방·환기 공기흐름이 혼합(Mixing)하는 개념에서 환기나 배기가 한 방향으로 흘러가는 즉 실내공기가 치환되는 방향으로 트렌드가 변하고 있다.우리나라도 정부 지원으로 스마트시티, 스마트빌딩 등 구축사업이 전국적으로 진행되면서 공공건물 및 기업사옥 등 ICT 기술이 융합된 첨단 스마트빌딩의 신축 및 리모델링도 증가하고 있다. 이런 추세에 맞춰 경제성, 효율성, 기능성, 신뢰성, 안전성을 두루 갖춘 냉난방 공조시스템에 대한 니즈도 증가하고 있다.시장 트렌드 변화에 맞춰 여러 가지 솔루션이 연구, 개발, 제안되고 있는 가운데 쾌적한 거주역 확보와 에너지 절감성 그리고 ICT 첨단건물에 최적화된 방식으로 떠오르고 있는 냉난방 공조방식이 ‘바닥공조시스템’이다. 그중에서도 특히 낮은 취출 풍속에 의한 안정적인 기류 흐름으로 실내 거주역의 온도성층화를 통해 오염물질이 확산되지 않고 쾌적한 실내공기질을 만들어주는 ‘친환경 가압식 변풍량 바닥공조시스 템’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정성진 대표는 “바닥공조방식은 단순히 천장에서 취출하는 것을 바닥으로 바꾼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지만 솔루션을 어떻게 구성하는지에 따라 건축 및 에너지비용 절감은 물론 환기 효율과 실내공기질 개선효과에 있어 큰 차이가 발생된다”라며 “트루만(주)은 글로벌 시장에서 검증된 시장 점유율 1위 시스템과 국내 건설현장에서 축적한 설계·시공 엔지니어링 노하우 및 역량을 기반으로 스마트빌딩에 최적화된 바닥공조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고 강조했다.트루만(주)은 올해 리뉴얼과 시공의 편리성 및 현장 안전관리 강화에 부합하는 특허받은 신기술인 무선(Wireless) 제어방식의 바닥공조와 코로나 바이러스 등 인체 유해물질에 대한 정화기능을 극대화한 플라즈마 에어 이온화(Plamsa Air Ionization) 기술을 접목해 경쟁사가 제공할 수 없는 한 차원 높은 바닥 공조 솔루션을 출시, 본격적인 시장공략에 나서고 있다.기사 전문 링크 트루만(주), 무선 제어 및 플라즈마 에어 이온화 방식 적용한 친환경 바닥공조 솔루션 본격 공급 < 기업탐방 < 탐방·인터뷰 < 기사본문 - 냉동공조저널 (hvacrj.co.kr)

12
2020

[바닥공조 대표기업] 트루만 정성진 대표 “고객 만족은 기본, 공급한 솔루션에 무한책임 지는 정직한 엔지니어링 기업…”

냉동공조저널 20.12.03기사내용 전문 링크 : https://www.hvacrj.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244-트루만, 가압식 바닥공조·Plasma 공기정화장치 전문기업- 가압식 바닥공조… 한전 나주 신사옥 등 10여 곳에 적용- 미국 ‘AirFixture’사와 업무제휴로 가격경쟁력 확보- Plasma 공기정화장치…미래 먹거리로 키운다 최근 미세먼지, 코로나19 등으로 인해 실내 공간의 냉난방·환기 트렌드가 실내공기를 혼합하는 개념에서 환기나 배기가 한 방향으로 흘러가는 방향으로 변하고 있다. 또 정부 지원으로 스마트시티, 스마트빌딩 등 구축사업이 전국적으로 진행되면서 공공건물 및 기업 사옥 등 ICT 기술이 융합된 첨단 스마트빌딩의 신축 및 리모델링도 증가하고 있다. 이런 추세에 맞춰 경제성, 효율성, 기능성, 신뢰성, 안전성을 두루 갖춘 냉난방 공조시스템에 대한 니즈도 증가하고 있다.시장 트렌드 변화에 맞춰 여러 가지 솔루션이 연구, 개발, 제안되고 있는 가운데 쾌적한 거주역 확보와 에너지 절감성 그리고 ICT 첨단건물에 최적화된 방식으로 떠오르고 있는 냉난방 공조방식이 ‘바닥공조 시스템’이다.그 중에서도 특히 낮은 취출 풍속에 의한 안정적인 기류 흐름으로 실내 거주역의 온도성층화를 통해 오염물질이 확산되지 않고 쾌적한 실내공기질을 만들어주는 ‘친환경 가압식 변풍량 바닥공조 시스템’이 더욱 주목 받고 있다.한국전력 나주 신사옥, 현대 그린스마트 실증인증센타, 한미연합사 사령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울산시립도서관, 여의도 여직원공제회 등은 가압식 바닥공조 시스템이 적용된 대표적인 건물이다.이 건물들에 적용된 가압식 바닥공조 시스템 공급업체는 공조·환기 전문기업 트루만(대표 정성진)이다.정성진 대표는 “바닥공조방식은 단순히 천장에서 취출하는 것을 바닥으로 바꾼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지만 솔루션을 어떻게 구성하는지에 따라 건축 및 에너지비용 절감은 물론 환기효율과 실내공기질 개선효과가 크다.”며 “트루만은 글로벌 시장에서 검증된 최상의 시스템과 국내 건설현장에서 축적한 설계·시공 엔지니어링 노하우 및 역량을 기반으로 스마트빌딩에 최적화된 바닥공조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가압식 바닥공조 시스템’하면 트루만 공식 만들어져트루만은 2010년 5월 기계설비 분야 중 냉동공조장비 공급 및 에너지절감 관련 엔지니어링 솔루션 전문업체로 설립됐다.정성진 대표는 삼성 등 건설사 발주처에서 20년 이상 대규모 프로젝트 설계, 발주, 시공 및 관리감독으로 근무하면서 바닥공조시스템에 대한 미래 시장 확장성에 대해 좋은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그 당시만해도 일부 포털 업체 사옥에 바닥공조 시스템 도입이 검토되던 시점이었고 주로 유럽에 많이 적용되던 정풍량의 등압식 바닥공조시스템이 도입되고 있었다. 하지만 등압식 바닥공조시스템은 기존 천장형 시스템에어컨과 유사한 방식으로 높은 취출기류에 의해 거주역에 난기류를 형성하고 실내에서 재순환하므로 실내 발생하는 오염물질 제거가 원활하지 않는 등 여러 가지 단점을 안고 있었다. 그래서 등압식이 적용됐던 건물에서는 지금까지 공조시스템으로 제 역할을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이런 이유로 정성진 대표가 사업 품목으로 선택한 제품이 ‘친환경 가압식 변풍량 바닥공조 시스템’이다.정성진 대표는 건설사 퇴사 후 사업 아이템으로 회사를 다니면서 연을 맺고 있던 존슨콘트롤즈의 요크(YORK) 냉동공조 솔루션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우연히 존슨콘트롤즈 홈페이지를 서핑하던 중 가압식 바닥공조시스템이 제품 라인에 있는 것을 발견하고 그 즉시 기술검토와 국내 보급 상황 등을 파악했다. 기존 시스템보다 기술적 완성도는 물론 글로벌 시장 인지도는 높았지만 한국시장에 마케팅은 전무한 실정이었다.”정성진 대표는 향후 ICT 연계한 첨단건물 수요 증가 등 한국의 시장잠재력이 충분히 있다고 판단, 존슨콘트롤즈 측과 파트너쉽을 맺고 바닥공조 시스템을 주력 아이템으로 창업하게 됐다고 말했다.처음에는 어려움도 많았다. 홈페이지에 올라와 있었지만 실제로 영업담당자나 제품에 대해 알고 있는 직원이 없었다. 제품은 있는데 제대로 된 기술자료 등 관련 백데이터가 거의 없었다. 제품 소개자료부터 제품별 사양, 설계사례, 마케팅 전략까지 하나부터 열까지 모든 준비가 정성진 대표의 몫이었다.정성진 대표는 2010년 5월 법인을 설립한 후 바닥공조 영업에만 3년 정도 몰두한 것 같다면서 처음 건설사나 설계사무소 영업을 다니면서 생소한 시스템에 대한 인식을 전환시키는 게 가장 힘들었다고 밝혔다.“처음엔 열정으로 덤볐지만 나중엔 오기로 찾아다닌 것 같다. 많은 어려움과 좌절을 겪으면서도 관심을 갖고 긍정적으로 검토해주는 곳도 생기면서 희망의 불씨도 살아난 것 같다.”바닥공조 시스템 영업을 시작한 지 3년만인 2013년 첫 프로젝트로 나주 한전 신사옥을 수주했다. 2014년 8월에 무사히 준공한 후 지금까지 한 번의 하자사례도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사용되고 있다.그래서 정성진 대표는 가장 기억에 남고 시장 가능성에 대한 충분한 동기부여가 됐던 현장으로 이곳을 꼽았다.트루만은 지금까지 한국전력 나주 신사옥, 현대 그린 스마트 실증인증센터, 한전 ICT센터, 한미연합사,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립국악원 우면당 리모델링, 울산시립도서관, 여의도 교직원 공제회관, 도농행정복지센터, 새문안교회, 여의도 파크원, 성남시 문화 및 의료시설 등 10여 곳에 바닥공조 시스템을 공급했다.정성진 대표의 10여년 노력의 결실은 이제 ‘가압식 바닥공조 시스템’하면 트루만이라는 공식이 만들어졌다.반면 그 당시 경쟁사의 터무니없는 비방과 가격 덤핑 등 그때 겪었던 어려움이 지금까지도 아픈 기억으로 남아 있다는 정성진 대표는 “세월이 많이 지난 것 같은데 지금도 상대방 비방과 가격덤핑은 여전한 것 같다.”고 안타까움을 토로했다.특히 정 대표는 바닥공조시스템에 대한 엔지니어링 기술력 부족과 국내 상황에 맞지 않는 외산 카피 제품을 내세운 저가 공세로 인해 시공 후에도 제 역할을 못하거나 사후관리가 이뤄지지 않는 경우도 있어 최근 바닥공조 시장이 기지개를 켜면서 성장에 탄력을 받으려고 하는데 찬물을 끼얹을까 답답한 마음이 가시질 않는다고 말했다. 기사 전문 링크[바닥공조 대표기업] 트루만 정성진 대표 “고객 만족은 기본, 공급한 솔루션에 무한책임 지는 정직한 엔지니어링 기업…” < 기업탐방 < 탐방·인터뷰 < 기사본문 - 냉동공조저널 (hvacrj.co.kr) 

08
2020

존슨콘트롤즈, 코로나19 대응 ‘바닥공조’ 제안

Kharn 칸 20.08.30기사내용 전문 : http://www.kharn.kr/news/article.html?no=13554  바이러스 전파 최소화, 쾌적한 실내환경 구현스마트빌딩 및 스마트시티를 구현하는 친환경 글로벌 리더 존슨콘트롤즈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 팬데믹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기존에 사용하던 천장공조시스템(혼합공기 분배시스템)을 대신해 사무실·학교 등 실내 환경에서 유해입자 전파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가압식 바닥공조시스템을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환기 중요성 부각 미국냉난방공조학회(ASHRAE)에서 최근 감염성 병원균에 대한 입장으로 ‘감염입자의 확산 경로를 방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공기의 흐름과 환기가 안정적으로 이뤄지도록 보장하는 것이 감염입자 확산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밝힌 바 있다. 실내 차압, 공기청정시스템, 온도 및 습도제어 등 주요 감염관리전략은 확실한 공기 흐름을 갖춘 환기를 보장해 감염 발생 근원지 주변의 실내공기가 희석되도록 함으로써 감염원을 제거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된다. 이에 따라 ASHRAE는 ‘모든 시설에서 감염입자 전파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을 고려해야 한다’고 명시했다.(ASHRAE Position Document on Infectious Aerosols, 2020).최근 미국미생물학회에서 코로나19 이후 발표한 연구내용은 ‘공기 중 병원균의 전염을 줄이기 위해 실내 공기질(IAQ)’에 대한 논의였다. 이전에 유행했던 사스(SARS) 바이러스 연구 결과, 바이러스 입자크기는 약 0.004μm~1.0μm 사이로, 바이러스가 타액을 통해 전염됨을 확인했으며 2차 전염은 공기 중에 이동하는 미립자에 의한 호흡으로 전염됨을 확인했다. 이번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대부분의 바이러스 크기는 0.25μm~0.5μm 사이인 것으로 관찰됐다.스테파니 테일러(Stephanie Taylor) 박사의 연구에 의하면 ‘정지된 공기에서 입자 크기에 따른 침전시간’에 대해 연구한 내용이 있다.(Tech Hour: Occupant Health, Building Energy Performance and Humidity, 2019) 연구에 따르면 10~100㎛의 큰 입자는 몇 초만에 바닥으로 침전된다. 여기서 중요한 문제는 상대습도가 40~60%가 아닐 경우 큰 입자는 몇 초안에 건조되고 1㎛ 이하로 작아져 실내에 오랜 시간 머무르게 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바이러스 입자가 오랜 시간 실내에 머무르면 실내 재실자가 호흡할 때 입자를 흡입하게 돼 바이러스에 감염된다. 휴고 리(Yuguo Li) 홍콩대학교 교수는 사람들이 방문하고 일하는 곳에서 충분한 환기가 중요하고 천장을 향해 공기를 강제로 배출하고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가져 오는 등의 적절한 환기는 공간의 바이러스 양을 희석해 감염 위험을 낮춰준다고 말한다.(Article “How Exactly Do You Catch Covid-19 There Is A Growing Consensus.” The Wall Street Journal, June 16th, 2020) 가압식 바닥공조, 실내공기질 향상존슨콘트롤즈의 가압식 바닥공조솔루션을 적용하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가압식 바닥공조시스템으로 실내의 온도 성층화를 이뤄 실제 거주구역과 호흡구역에 떠다니던 작은 입자들이 기류에 의해 따뜻한 공기와 함께 상부 천장으로 밀려나게 되고 천장에서 리턴돼 바이러스 입자가 제거돼 쾌적한 실내공간을 구현할 수 있다. 이는 기존에 적용된 천장공조시스템과 다른 시스템으로, 코로나19로 중요성이 가중된 실내 공기질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솔루션이다.바닥공조시스템과 기존 천장공조시스템의 큰 차이점은 기류의 분포와 환기에 있다. 기존 천장공조시스템은 낮은 취출온도(14℃)와 높은 풍속(1.5m/s)으로 천장 취출구에서 공급돼 실내 거주공간에 난류가 형성된다. 또한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혼합돼 실내공간 전체에 오염물질이 고르게 퍼지는 상태가 되며 혼합된 공기에는 오염물질 및 큰 입자 및 미립자가 포함돼 있다. 결국 실내 공간에 거주하는 재실자는 감염입자를 쉽게 흡입할 가능성이 높으며 재실자 사이에 쉽게 전달되는 안전하지 못한 공조방식이다.이에 반해 존슨콘트롤즈의 가압식 바닥공조시스템을 적용하면 천장공조시스템보다 높은 취출온도(18℃)와 낮은 풍속(0.25m/s)으로 바닥 취출구에서 공급된다. 이렇게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면 바닥으로부터 2m 높이의 거주구역까지만 공조가 이뤄지며 2m 이상 높이의 비거주구역과 온도 성층화를 이뤄 하부 공기는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부의 오염된 공기는 리턴돼 환기가 이뤄진다. 이로써 실내 재실자의 호흡으로 뿜어진 오염된 입자들은 서서히 상부로 올라가 환기되며 거주구역은 신선한 공기만 유지돼 쾌적한 실내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 존슨콘트롤즈에서 제안하는 가압방식의 바닥공조시스템은 천장공조시스템이나 시스템에어컨이 설치된 곳과 다르게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재순환되지 않고 오염된 공기를 상부로 유도시켜 밀어내 천장의 리턴을 통해 공조기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실내 공기질 향상에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실내부하에 따라 송풍량을 조절하는 가변풍량(VAV)방식으로 실내 재실자의 요구에 맞게 취출구의 Open과 Close 시간을 제어해 실내 설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22dB의 낮은 소음과 인테리어 변경 시 취출구 이동이 용이하고 유지보수가 편리하다.기사 전문 링크존슨콘트롤즈, 코로나19 대응 ‘바닥공조’ 제안 (kharn.kr) 

08
2020

트루만, 액티브적 공기정화장치 「Plasma-Air Ionizer」

냉동공조저널기사내용 전문 링크 : 트루만, 액티브적 공기정화장치 「Plasma-Air Ionizer」 < 환기/IAQ < 제품News < 기사본문 - 냉동공조저널 (hvacrj.co.kr) - 필터 개념 아닌 건물 전체 정화하는 시스템- 개별공조부터 중앙공조 까지 다양한 제품 라인업 갖춰- 가압식 바닥공조시스템… 실내오염공기 섞이지 않고 배출쾌적 공조·환기 엔지니어링 전문업체 트루만(대표 정성진)은 ‘HVAC KOREA 2020’ 전시회에 실내 공기중에 떠다니는 오염물질 제거 및 중화 능력이 뛰어난 프라즈마 에어 이오나이저(Plasma-Air Ionizer)와 실내 공기질 개선 및 에너지비용 절감에 효과적인 가압식 바닥공조 시스템을 선보였다.트루만이 공급하고 있는 플라즈마 에어 이오나이저(Plasma-Air Ionizer)는 급기되는 공기가필터를 통과하면서 제거되는 기존의 패시브적 공기정화장치와 달리 외부에서 들어오는 오염원뿐만 아니라 실내에서 발생하는 오염원까지 제거하는 액티브적인 공기청정장치다.Plasma란 음전하를 가진 전자(-)와 양전하를 띤 이온(+)으로 분리된 기체(Air)상태를 말하며, 음(-)과 양(+)의 전하수는 같아서 전체적으로 중성을 띤다. 물질상태를 일반적으로 고체, 액체, 기체로 나누는데 Plasma는 ‘제4의 물질 상태’ 로 기체(Air) 상태에 높은 에너지를 가하면 수만 ℃에서 기체(Air)는 전자와 원자핵으로 분리되어 Plasma 상태가 된다.Plasma는 하나 이상의 전자가 원자로부터 자유롭게 찢어질 때 생성된다. 전자가 빠진 원자를 이온이라고 한다. Plasma는 이러한 양전하 이온과 음전하 전자를 혼합한 것이다.  트루만의 공기청정순환장치, 플라즈마 에어 이오나이저(Plasma-Air Ionizer)트루만의 Plasma-Air IONIZER는 필터의 개념이 아니라 오염원 제거 능력을 가진 이온을 만들어서 실내로 보내 오염원을 제거하는 건물 전체를 정화하는 시스템이다.정성진 대표는 “Plasma-Air IONIZER는 공기 중에 있는 산소를 이온화시키므로 항상 공기가 공급되는 공조기나 덕트 등 공조 순환장치 쪽에 설치해야 이온이 발생된다”며 “ 테스트 결과. 박테리아는 60분 안에 95%, 미세먼지는 15분 이내 86%, 화학물질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95% 이상 감소하는 결과가 나왔다”고 강조했다.트루만은 전열교환기나 천장형 에어컨 등 개별공조부터 중앙공조 까지 적용할 수 있는 소형부터 대형의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트루만의 가압식 바닥공조 시스템은 낮은 취출풍속에 의한 안정적인 기류흐름으로 거주역의 온도성층화를 통해 오염물질이 확산되지 않아 쾌적한 실내공기질을 만들어주는 트루만의 주력 제품으로 2014년부터 국내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정성진 대표는 “바닥공조방식은 단순히 천장에서 취출하는 것을 바닥으로 바꾼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지만 솔루션을 어떻게 구성하는지에 따라 건축비용 및 에너지비용 절감은 물론 환기효율과 실내공기질 개선효과가 크다”고 말했다.보통 천장형 시스템에어컨은 높은 취출풍속에 의한 난류기류 형성 및 불안정한 기류 혼합으로 오염물질이 실내에서 지속적으로 순환된다.이에 비해 바닥공조방식(UFAD : Under Floor Air Distribution)은 바닥에서 취출하는 공조방식으로 엑세스 플로어 하부 공간을 전기, 통신과 함께 공조 공기의 통로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바닥공조방식에는 가압방식과 등압방식 등이 있다.등압식 바닥공조 시스템은 트루만에서 공급하는 가압식 바닥공조 시스템과 달리 기존 천장형 시스템에어컨과 유사한 방식으로 높은 취출기류에 의해 거주역에 난기류를 형성하고 실내에서 재순환하므로 실내 발생하는 오염물질 제거가 원활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트루만의 가압식 바닥공조시스템 트루만 가압 바닥공조 시스템은 실내부하의 증감에 따른 송풍량을 조절하는 올 가변풍량(VAV)방식으로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온도제어가 가능하다. 특히 천장형이나 등압식처럼 실내공기를 섞는 개념이 아니라 취출공기가 한 방향으로 흘러가게 해 오염공기와 섞이는 것을 방지해준다. 낮은 취출풍속으로 실내 거주자가 숨쉬는 공간의 오염원을 위로 밀어내기 때문에 호흡 구간에 오염되지 않은 공기를 만들어준다. 모든 오염공기는 천장 디퓨저를 통해 공조기에서 처리된다. 정성진 대표는 “최근 미국의 공조시스템 설계 트렌드도 실내공기를 섞는 개념이 아니라 한 방향으로 흘러가도록 변화되고 있다”며 “이런 측면에서 볼 때 바닥공조 시스템, 특히 가압식 바닥공조에 대한 입지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트루만의 가압식 바닥공조 시스템은 사무실 레이아웃 변경 시 유연하게 변경 대응할 수 있고 용도와 부하 특성에 맞게 다양한 취출구 적용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무선으로 설치가 가능한 제품도 개발, 특허등록을 마치고 양산에 들어갔다.

TOP TOP